가. 개요 모든 산업 기기는 설계된 성능과 최장운전 수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활한 운전과 정기점검 및 정비가 필요하다. 특히, 냉각탑은 관리 상태가 나쁠 때 성능저하가 매우 심하고 프로세스의 기기에 영향을 주어 시스템 효율은 급격히 떨어뜨린다. 그러나 적합한 운전과 예방정비 활동으로 고장을 예방하고 진단하기가 비교적 수월하다. 나. 운전전의 점검 (1) 청소 (가) 하부수조(COLD WATER TANK)의 냉각수를 배수(DRAIN)하고 수조내에 끼어있는 슬럿지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나) 스트레이너(STRAINER)와 노즐 등 기타 부분의 스케일이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한다. (2) 급수 : 순환펌프(CIRCULATION PUMP)를 단속운전 시켜 배관내의 공기를 빼내고 물을 채운다. 이때, 하부수조의 ..
가. 개요 표준적인 개방형 냉각탑의 제어를 위한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각 현장의 특성과 비용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해야하며 적절한 운전방법과 제어 시스템 구성에 참조가 되도록 한다. 나. 냉각탑 제어목적과 기본사항 (1) 냉각계통 운전상태 감시를 통하여 프로세스의 전반적인 운전에 연계한다. (2) 적정한 온도의 냉각수를 공급하고 유지한다. (3) 운전 인력비용을 절감하고 냉각탑 팬의 동력 절감을 이룬다. 운전비용은 냉각탑 팬 보다 프로세스측의 절감효과가 더 크므로 이에 합당하도록 냉각수온 제어가 선행되어야 한다. (4) 운전실의 위치, 냉각계통 및 프로세스 시설과 자동제어 수준, 요구사항 등 현장 시스템과 연계하여 검토되고 적정하게 선정되어야 한다. 다. 냉각탑 제어의 일반적인 조건 (1) 냉각수의 출..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범기업
- 관곡지
- 냉각탑의 기초
- 인천대공원
- 제주도
- cooling tower
- 눈(영상)
- 청량산
- 영변
- 삼풍
- 눈꽃
- 소래산
- 우주왕복선
- 북한
- 오봉산
- 삼풍백화점
- 원자로
- 화재
- 장고항
- 냉각탑
- 인천대교
- 송도신도시
- 일본기업
- 파주개성인삼축제
- 붕괴사고
- Eric Lafforgue
- 쿨링타워
- 관악산
- 냉각탑의 종류
- orlando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